cls 은행
CLS 은행은 국제 외환 결제를 전문으로 하는 금융 기관입니다[1][2][3]. 2002년 9월 9일에 설립된 이 은행은 "Continuous Linked Settlement"의 약자로, 지속적 연계 결제를 의미합니다[1].
## 주요 특징
- **목적**: 전 세계 통화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[1]
- **본사**: 뉴욕[1]
- **회원**: 17개국 중앙은행, 60개 이상 상업은행[1]
- **처리 규모**: 1일 평균 5조 달러 이상[1]
- **서비스 범위**: 70개국 이상, 약 30,000개 제3자 고객[2]
- **결제 통화**: 18개국 주요 통화[2]
## 장점
1. **안전성**: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의 참여로 높은 안전성 보장[1]
2. **효율성**: 24시간 운영 시스템으로 대량 결제 처리[1]
3. **신뢰성**: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의 신뢰 기반 운영[1]
4. **리스크 감소**: 외환 거래의 정산 리스크 최소화[3]
## 단점
1. **비용**: 결제 서비스에 대한 추가 비용 발생[1]
2. **참여국가 제한**: 현재 17개국만 회원으로 참여[1]
3. **통화 제한**: 10개 통화만 지원[1]
CLS 은행은 국제 금융 시장에서 외환 거래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[3].
인용:
[1] CLS 은행이란? - 경제와 함께 경제적 자유 https://financial-moo.tistory.com/entry/CLS-%EC%9D%80%ED%96%89%EC%9D%B4%EB%9E%80
[2] 경제금융용어 700선 : CLS은행 - 개발자지니! https://cloudjini.tistory.com/m/786
[3] 경제금융용어 - CLS은행이란? #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- 로이스토리 https://storyroty.tistory.com/859
[4] 외환동시결제시스템 CLS란? - 네이버 블로그 https://blog.naver.com/mmcayy/221658740326
[5] CLS 외환동시결제시스템 10년 평가와 과제 - 한국은행 https://www.bok.or.kr/portal/bbs/P0000559/view.do?nttId=212629&menuNo=200690&searchWrd=%EA%B8%88%EC%9C%B5%EC%8B%9C%EC%9E%A5+%EB%8F%99%ED%96%A5&searchCnd=1&pageIndex=8
[6] 국내 외환거래 동시결제 시스템 '정착' - 한겨레 https://www.hani.co.kr/arti/economy/finance/126430.html
[7] [HWP] 보 도 자 료 - 금융위원회 https://www.fsc.go.kr/comm/getFile?srvcId=BBSTY1&upperNo=66887&fileTy=ATTACH&fileNo=1
[8] CLS은행을 통한 외환동시결제 개시 - KDI 경제정보센터 https://eiec.kdi.re.kr/policy/materialView.do?num=71762
'Fina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은행과 지급결제제도 (2024.12. 한국은행) (1) | 2025.02.02 |
---|---|
The Fed - Retail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: Implications for Banking and Financial Stability (2023) 요약 (2) | 2025.01.24 |
national bank act (1864) 원문 (2) | 2025.01.24 |
초보자에게 추천하는 투자 방법 (0) | 2025.01.08 |
[우리투자證] 선물, 지수옵션 전략 매매 시뮬레이션 (2012) (0) | 2024.09.13 |